본문 바로가기
  •                        自分に負けずやれば出来る
  • 自分を信じる
Computer/study

[IT 인프라] What is IT Infra Architecture?

by Divertome 2021. 12. 29.

IT Infra Architecture 이란 무엇일까?

Infra 자체의 의미부터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인프라란, 생활을 지탱하는 여러 서비스, 기본을 뜻한다. 주변의 전력시스템, 상하수도 시스템 등등 우리가 모르지만 우리의 생활을 지지해주는 것들이다. 이러한 인프라는 전문가 집단에 의해 관리 되며, 사용자가 모르더라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IT infra 역시 그와 같이 전문가 집단에 의해 관리되며 이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도록 발전, 관리되고 있다. 이런 IT Infra도 여러가지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IT Infra Architecture이라고 한다.

특정 인프라 아키텍쳐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그 근간을 이루는 구조는 같기때문에 인프라 아키텍쳐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IT인프라는 컴퓨터로 구성되어있고 기본적 구성방식으로는 집약형과 분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집약형은 말 그대로 하나의 컴퓨터가 모든 일을 다 처리하는 것, 분할형은 여러대의 컴퓨터가 일을 나누어 처리하는 것이다.

집약형 아키텍쳐: 한대의 대형 컴퓨터만 있으면 되므로 구성이 간단, 대형 컴퓨터의 리소스 관리나 이중화에 의해 안정성이 높고 고성능이다. 하지만 대형컴퓨터이니만큼 도입 시 비용이 크게 발생하고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

분할형 아키텍쳐: 낮은 비용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서버 대수를 늘릴 수 있어서 확장성이 높다. 하지만 대수가 늘어나면 관리 구조가 복잡해지고 한 대가 망가지면 영향 범위를 최소화하기위한 구조를 검토해야한다.

분할형서버의 경우 구조적인 문제가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필연히 여러 아키텍쳐가 개발되었다.

1) 수직 분할형 아키텍쳐
1-1) 클라이언트- 서버형 아키텍쳐
1-2) 3 계층형 아키텍쳐: 클라이언트-서버형의 발전형, 프레젠테이션 계층-애플리케이션 계층-데이터계층으로 나뉨. 서버 부하 집중 개선,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기 업데이트가 불필요하고 '처리 반환'에 드는 서버 부하가 줄어든다. 하지만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보다 복잡하다.

2) 수평 분할형 아키텍쳐
2-1) 단순 수평 분할형 아키텍쳐
수평으로 서버를 늘리기 때문에 확장성이 향상, 분할한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므로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데이터를 일원화헤서 볼 수 없고,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가 이중으로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처리량이 균등하게 분할되어있지 않을 경우 서버별 처리량에 치우침이 생긴다.
2-2) 공유형 아키텍쳐: 위의 단순분할형과 달리 일부 개층에서 상호 접속이 이루어져 단점을 개선시킨 형태.


3)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
3-1) 스탠바이형 아키텍처
3-2) 재해 대책형 아키텍처

* 물리 서버와 논리 서버의 차이:

컴퓨터 자체를 가리키는 경우-> 물리서버(Intel x86 서버는 인텔 아키텍쳐를 채용하고 있어 IA서버라 불림.)

내부 여러 소프트웨어의 작동(DB, HTML...etc)-> 논리 서버